구조화된 화용적 의사소통 중재
페이지 정보
본문
강은희, 박선희(2007). 구조화된 화용적 의사소통 중재가 무발화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. 특수교육저널 : 이론과 실천(제8권 4호)
Ⅰ. 서론
⦁교육현장에서는 계속해서 자폐 아동들이 증가하고 있으며, 다양한 교육적 및 치료적 접근
이 더욱 시급하게 요구됨
1. 화용적 의사소통 중재란
-말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의도와 상황에 맞게 표현하는 능력을 의미하며, 듣는 사람에게
있어서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(김영태, 1997).
2. 화용적 의사소통 중재가 필요한 이유
-자폐 아동은 초기 의사소통 기능이 가능하더라도 언어의 적절한 사용 능력이 부족함
-기능성을 강조하여 실생활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의사소통기술을 가르칠 수 있음
-심도의 자폐성 아동들에게 유용하게 사용
-일반화에 효과적
3. 비판점
-임상의 효율성이 떨어짐
4. 본 연구의 목적
-본 중재를 무발화 자폐성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부적절한 의사소통 행동과 구어에 미치는
효과를 알아봄으로써 구조적인 환경과 촉진적인 전략을 활용한 구조화된 화용적 의사소통 중재의 유용함을 알아보고자 함
5. 연구 문제
(1) 구조화된 화용적 의사소통 중재가 무발화 자폐성 아동의 부적절한 의사소통 행동을 감 소시키는가?
(2) 구조화된 화용적 중재가 무발화 자폐성 아동의 구어를 증가시키는가?
Ⅱ. 연구 방법
1. 연구 대상
-자발적인 의사소통 시도가 제한적인 아동
대상 아동 | 성별 | 연령(세) | 사회성 (SMS) | 자폐성 (CARS) | 수용언어 연령(개월) (SELSI) | 표현언어 연령(개월) (SELSI) |
A | 남 | 6;0 | 41 | 40 | 23 | 10 |
B | 남 | 5;3 | 43 | 40 | 17 | 15 |
C | 남 | 4;7 | 50 | 44 | 12 | 8 |
-의사소통적 기능이 있더라도 그 사용 빈도가 낮고 부적절한 수단을 사용
2. 평가도구
1) 의사소통 형태 평가
-아동의 행동을 두 가지로 나누어 기록
➀ 의사소통 행동 : 자해, 공격성, 짜증내기, 울기, 한 단어, 두단어 이상의 구어사용
➁ 구어 평가 : 반향어, 무의미한 중얼거림 제외
-두 가지 의사소통 행동이 동시에 나타난 경우는 보다 발전된 의사소통 형태 기록
3. 연구 설계 및 절차
1) 연구 설계
-대상간 중다기초선 설계(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) 사용
-중재 이전에 기초선 평가 실시
-치료 중 4회기마다 중재 평가를 실시하여 개선도에 대하여 비교 분석
2) 연구 절차
(1) 기초선 단계
-아동에게 구조화된 놀이 상황을 제공
-Wetherby와 Prizant(1996)가 제시한 초기 의사소통 촉진전략 활용하여 3회 이상 실시
-각 회기 당 20분 동안 실시
-평가회기 후 비디오 분석을 통해 부적절한 의사소통 행동과 구어를 분석하고 평가
(2) 중재 단계
-중재 회기는 30분 동안 실시
-의사소통 상대자와 촉진자가 함께 사진교환, 지적하기, 몸짓을 통해 목표행동 중재
-여섯 개의 주된 장난감과 아동의 선호에 따른 1~3개의 장난감 추가로 배치
-의사소통 기능을 세 가지 의사소통 의도(행동통제, 공동관심, 사회적 상호작용)로 나눔
-의사소통 기회를 7개(사물 요구하기, 행동 요구하기, 거부하기, 언급하기, 정보 제공 하 기, 관심 끌기, 인사하기)의 초기 의사소통 의도에 따라 최소 3회 이상 의사소통을 유 발함
화용적 의사소통 | 사물 요구하기 | 행동 요구하기 | 거부 하기 | 언급 하기 | 정보 제공하기 | 관심 끌기 | 인사 하기 | |
의사소통 목표행동 | 사진 교환 | 사물 내밀기 | 손 또는 고개 좌우로 흔들기 | 지적 하기 | 지적 하기 | 의사소통 강대자 신체 두드리기 | 고개 숙이기 또는 흔들기 | |
구조화된 촉진 전략 | 의사소통촉진전략 | 사물을 보여주고 손이 닿지 않는데 놓음
| 아동이 하기 어렵게 놀이의 부분을 조작하여 제시 | 좋아하는 사물을 제거하거나, 싷어하는 사물을 준다 | 사물을 가만히 쳐다본다
| 두 가지제시하고 “어느 것을 선택할래?” 라고 한다 | 좋아하는 사물로 관심을 끌고 다른일을 한다
| 만날 때와 헤어질 때 고개 숙여 인사한다
|
촉진자 전략 | 의사소통 촉진전략에 따라 의사소통을 유도하였을 때, 5초 동안 아동이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목표 행동을 보이지 않는 경우에 아동의 신체를 촉구하여 목표 의사소통 행동을 수행하도록 한다. |
-중재 평가는 치료 4회기마다 중재에 대한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과 구어 사용을 기록
(3) 연구 장소 및 기간
-통합어린이집 내 언어치료실에서 실시
-연구기간 : 2006년 6월 12일~10월 2일이며 주3회(각 30분) 실시
4. 자료수집
-비디오카메라에 녹화하여 아동과 의사소통 상대자의 발화 모두 전사
-아동의 의사소통 중 반복적으로 지칭하거나 행동하는 경우는 한 번만 기록
-사물이나 행동을 요구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행하거나 의미를 알 수 없는 경우는 빈도 수에서 제외
-구어 사용 빈도 = 각 구어 사용 형태 빈도 / 총 의사소통 행동 수 (백분율로 나타냄)
Ⅲ. 결과
1. 부적절한 의사소통 행동 변화
(1) A 아동
-기초선 평가에서 평균 10~15%의 부적절한 의사소통 행동
-중재 이후 점차 감소. 평가 4회기 이후에는 부적절한 의사소통 행동 보이지 않음
(2) B 아동
-기초선 평가에서 평균 20~57%의 부적절한 의사소통 행동
-중재 이후 점차 감소. 평가 5,6 회기에서는 4% 이하의 낮은 출현율